반응형


꽤나 오래 전에 구입했던, 아마도 2000년인가 2001년인가 구입했던, 김훈의 「자전거여행」이었습니다.
어지간히(?) 오래 잊고 지냈던 책이었는데, 황석영 선생이 이 책을 상기시켜주었습니다.
황석영 선생, MBC 황금어장 무릎팍도사에 나왔었지요. (2008년 10월 29일과 11월 5일로 확인되는군요.)
그때 김훈이 황석영 선생에 의해 언급되었고, 저는 기억에서 김훈을 퍼올렸습니다. ^^
2009년 들어서 계속 이어져오는(암, 그래야지!) 책읽기에 끼워넣게 된 이유입니다.

   김훈, 「자전거여행」(생각의나무, 2000)   * 본문 - 총 329쪽.

김훈의 「자전거여행」은 읽는 데에 그닥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김훈의 문체도 문체겠고,
무엇보다 책의 판형이 좀 작지요. 게다가 여행기이고, 중간중간에 등장하는 풍경사진들도 있고 해서요.
2009년 3월 10일(화) - 3월 16일(월), 꼭 일주일 걸렸군요. 휴무와 이런저런 이유로 이틀은 못 읽었네요. -.-a
흠흠. 김훈 하면 「칼의 노래」가 떠오르는 것이 사실인데요. 요건 언제 한번 기회를 만들어 읽을 듯합니다. ^^
 
 
 

    무릎팍도사 황석영 선생 덕에 김훈의 「자전거여행」을 읽다


지금 리뷰를 쓰고 있는 김훈의 책과... 밀린 리뷰를 써야할 몇권의 책. (이미지를 클릭하면 커집니다.)


 

1.  자전거 페달을 밟으며 하는 깊은 사색

자전거는 새벽에 여우치 마을을 떠나 옥정호수를 동쪽으로 우회했다. 호수의 아침 물안개가 산골짝마다 퍼져서 고단한 사람들의 마을을 이불처럼 덮어주고 있었다. 27번 국도를 따라 20여 킬로미터를 남쪽으로 달렸다. (280쪽)
강은 인간의 것이 아니어서 흘러가면 돌아올 수 없지만, 길은 인간의 것이므로 마을에서 마을로 되돌아올 수 있었고, 모든 길은 그 위를 가는 자가 주인인 것이어서 ... 그러므로 이 늙은 길은 가(街)가 아니고 로(路)로 아니며 삶의 원리로서의 도(道)이다. (281쪽)
(280, 281쪽, '시간과 강물 - 섬진강 덕치마을에서)

김훈의 「자전거여행」에서 기록되고 있는 것은 '자전거'도 아니고, '자전거여행'도 아니고 '여행의 풍경'도 아닙니다. 달리는 자전거 위에서 보는 삶과 자연과 풍경에 대한 김훈의 깊은 사색입니다. 그것을 빼면 이 책은 빈 종이 묶음에 불과하다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김훈은 달리고 또 달립니다. 페달을 밟는 김훈의 머리 속을 스쳤을 수많은 생각을 한올 한올 놓치지 않고 옮겨 놓습니다. 그렇게 전해지는 사색은 우리의 삶와 연관성을 놓치지 않기에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그렇게 전해지는 사색에 깊이가 있기에 울림이 있습니다.
저, 길 하나를 놓고 펼쳐지는, 가-로-도에 관한 생각은 리뷰를 쓰는 지금도 깊은 울림으로 다가옵니다.

 
 

 
2.  꽃 한송이 풀 한포기를 놓치지 않는 따뜻한 시선

매화는 잎이 없는 마른 가지로 꽃을 피운다. 나무가 몸 속의 꽃을 밖으로 밀어내서, 꽃은 품어져 나오듯이 피어난다. 매화는 피어서 군집을 이룬다. 꽃핀 매화숲은 구름처럼 보인다. 이 꽃구름은 그 경계선이 흔들리는 봄의 대기 속에서 풀어져 있다. 그래서 매화의 구름은 혼곤하고 몽롱하다. 이것은 신기루다. 매화는 질 때, 꽃송이가 떨어지지 않고 꽃잎 한개 한 개가 낱낱이 바람에 날려 산화(散華)한다. ... 가지에서 떨어져서 땅에 닿는 동안, 바람에 흩날리는 그 잠시 동안이 매화의 절정이고, 매화의 죽음은 풍장[風葬]이다.
(21쪽, '꽃피는 해안선 - 여수 돌산도 향일암'에서)   * [   ] 삽입은 비프리박.

저는 솔직히 우리의 이른 봄을 장식하는 매화에 관해 이처럼 따뜻한 시선으로 그리고 이처럼 아름답고 섬세하게 기록한 글을 아직까지 보지 못했습니다. 매년 이른 봄, 매화꽃 좀 피는 곳이면 축제를 열고, 저부터도 꽃구경을 가고 싶어 엉덩이를 들썩이는데, 매화 자체에 관한 생각은, 계기가 없었는지, 겨를이 없었는지-.-a 해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위에 인용한 바과 같은, 우리가 흔히 접하는 꽃과 나무들에 대한 김훈의 따뜻하고 섬세한 시선은 책 전체를 관통합니다. 그 시선 역시 깊이가 있고 울림이 있어서 좋습니다. 게다가 글쟁이 김훈의 유려한 글솜씨까지 겹쳐져서 그의 따뜻함과 섬세함이 더욱 빛을 발합니다.

 
 

 
3.  먹거리에 관한 김훈식 묘사가 주는 이채로움

새로 돋아난 봄 냉이를 엷은 된장에 끓인 국이 아침 밥상에 올랐다. 모시조개 몇 마리도 국 속에서 입을 벌리고 있었다. 새벽에 자전거를 타고 나가서 공원을 몇 바퀴 돌고 오니까 현관문을 열 때 집 안에 국 냄새가 자욱했다. 냄새만으로도 냉이국이란 걸 알아맞혔다. ... 국 한모금이 몸과 마음 속에 새로운 천지를 열어주었다. ... 겨울 동안의 추위와 노동과 폭음으로 꼬였던 창자가 기지개를 켰다. 몸 속으로 봄의 흙냄새가 자욱이 퍼지고 혈관을 따라가면서 마음의 응달에도 봄풀이 돋는 것 같았다.
(34-36쪽, '흙의 노래를 들어라 - 남해안 경작지'에서)

김훈의 먹거리 묘사에서 느껴지는 그의 관심과 생각과 조예가 남다르다는 사실이 조금은 놀라움으로 다가옵니다. 그렇습니다. 문인 김훈이 풀어낸, 봄철 밥상을 장식하는 냉이된장국 하나에 관한 묘사와 생각은 그야말로 이채로움과 놀라움를 선사했습니다. 자전거를 타고 여행하는 것이 경유지 설명에 그치는 것이 아닐 뿐더러 지나치며 본 것들에 관한 묘사로 그치는 것도 아닙니다. 이렇게 우리가 일상적으로 먹는 먹거리 하나에 관해서도 자신의 생각을 담아 풀어냅니다.
약간의 과장과 오버액션이 느껴지기는 하나, 그것이 전체적인 글의 흐름에서 결코 벗어나거나 어긋나는 일은 없는 것으로 기억합니다. 오히려, 그것은 읽는 사람에게는 색다른 읽는 재미로 작용하기도 하는 한편, 글쓰는 이에게 주어진 자유이자 글쓰는 사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의 행사라고 볼 수도 있으니까요.

 
 

 
4.  길에서 사람을 만나다, 사람에서 사회를 보다

목발을 짚고 꽃가게를 경영하는 [광주민중항쟁] 총상 피해자 이세영씨와 나눈 대화는 다음과 같다.
"처음부터 그 사태에 대한 인식이 있었나?"
"전혀 없었다. 나는 그때 전두환이라는 이름조차 몰랐다. ... 두들겨 맞고 나서, 총에 맞고 나서, 이 사태가 무슨 사태인지를 알게 되었다."
......
"용서와 화해는 불가능한가?"
"그게 무슨 말인지를 모르겠다. 가해자들은 아무도 용서를 구하지 않았고 화해를 요청하지도 않았다. 개인의 심정으로는 만일 용서를 빌어온다면 부둥켜안고 통곡하고 싶다. 그러나 그런 일이란 없었다."
(55-56쪽, '망월동의 봄 - 광주'에서)   * [   ] 삽입은 비프리박.

어쩌면 오랫동안 신문기자 생활을 한 김훈의 이력 때문인지, 사회에 대한 생각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습니다. 위에서와 같은, 만나는 사람들과의 대화를 인용함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비출 뿐이지요. 이것은 현실에 대한 회피도 아니고 책임의 모면도 아닙니다. 오히려 간접적으로 이렇게 드러냄으로써 독자에게는 더 생생하고 강렬한 인상을 줍니다.
'화해와 용서'를 구하지도 않는 학살의 주인공들을 용서하고 화해한다는 것의 허구성을 논리적으로 반박하고 비판하는 것보다 피해자의 생생한 육성을 전하는 것이 훨씬 설득력이 있을 수도 있으니까요. 적어도 김훈은 그런 효과를 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럼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공감 혹은 깨달음을 불러일으키니까요.




리뷰의 결론은...?

- 여행은 느리게 하는 것이 좋다. 여행의 속도는 생각의 깊이와 반비례 관계에 있다.
- 여행은 보는 것, 먹는 것에 대한 생각의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 보고 만나는, 풀과 나무들 그리고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갖는 것은 아름답다.
- 고로, 여행은 하지 말아야할 이유보다 해야할 이유가 많다. 가능한 한 많이 돌아다니자.

※ 여행 자체에 부정적인 생각을 가진 분에게는. 전혀 공감이 안 가는 책일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 0428 화 00:50 ... 02:15  비프리박


p.s.

쓰나미는 거대한 파도로 몰려오고...

화요일, 수요일이 지나면 쓰나미는 일단 잦아듭니다.
문제는 오늘과 내일, 화요일과 수요일입니다.
오늘은 아무래도 세시간 정도 일찍 출근해야 할 듯 합니다.
쓰나미 자체도 크지만, 미리 준비해야 할 일들이 많군요.

그래도 이제 쓰나미는 끝을 보이고 있음에 기뻐하렵니다.
 
                                            [ 2009 0428 화 아침, 대문 ]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