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장편소설이라고 부제를 달고 있는 책이었지만, 사실 분량도 썩 많지 않아 맘 먹고 읽으면 후딱 읽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실제로 후딱 읽은 책입니다. 어지간히 느리게 읽는 제가 이틀만에 읽었으니까요. 하지만 그 울림(?)이 적지 않은 책입니다.

조두진, 아버지의 오토바이, 위즈덤하우스(예담), 2009.   * 총 268쪽.

책을 읽으면서 한편으론 조두진이 나이가 어떻게 될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정도의(?) 소설을 썼다면 나이가 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저의 아버지 세대 쯤(?)이라는 추측도 했구요. 하지만 예상 외로, 조두진은 사십 언저리의 나이더군요. 내용에 공감하느냐 못 하느냐를 떠나서 그가 보여준 생각의 깊이에 대해선 살짝 놀랐다는 말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위즈덤하우스 출판사에서 보내온 두번째 서평단 미션 서적입니다.
지난번 「조선공주실록」은 <역사의 아침> 카테고리였는데 이번은 <예담> 카테고리군요.
<예담> 카테고리는 소설류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곳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2009년 7월 10일(금)에 택배수령했구요. 7월 20일(월)과 21일, 이틀에 걸쳐 읽었습니다.
저의 독서 전용 시간대인 출퇴근 시간 외의 시간을 좀 투자했기에 이틀만에 읽었다죠.



       아버지의 오토바이(조두진) - 아버지를 화두로 던지는 장편소설
 

( 휴가기간이 끼어서 서평 작성이 생각보다 좀 늦어진 게 못내 마음에 걸리는, 조두진 「아버지의 오토바이」)

 

1. 한 폭의 그림 같은 서정적인 표현들, 그 서정성에 울다

무릇 소설가라면 서정적일 수도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허구한 날 서정성에 쩔어있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제대로 서정성을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책을 읽는독자로 하여금 한 폭의 그림을 머리 속에 그릴 수 있을만큼 말이죠. 그런 면에서, 조두진의 이 소설은 읽을 맛이 납니다. 감정이입된 서정적인 풍경 묘사가 참 멋들어진 대목을 간혹 만나게 됩니다. 예컨대, 기억에 남는 걸로 다음과 같은 장면들이 그렇습니다.

신작로의 포플러 가로수가 바람을 맞아 촤르르 손뼉 치던 날이었다. 버스 정류장 표시도 없는 정류장에 엄시헌과 미스 정은 서로 다른 곳을 쳐다보며 오래 서 있었다. ... 멀리서 시외버스가 부연 먼지를 일으키며 달려왔고 엄시헌이 커다란 짐 가방을 들었다.
(70쪽, <아버지의 가게>에서. & 152쪽 참조.)
바깥에는 눈이 날리다가 멎기를 거듭하고 있었다. 늘 왁자하던 함바집은 조용했고, 눈 덮인 공사장도 고요했다. 그 많던 사람들이 세상 밖으로 사라지고 세상에는 두 사람만 남은 듯 했다. 온 세상이 하얬다. 불도저도 벽돌도 멀리 보이던 일꾼들의 숙소도 눈 속으로 사라지고 없었다.
(63쪽, <아버지의 가게>에서)
비 내린 뒤 화창한 날이었고 아카시아 꽃향기가 진했다. 이삿짐을 실은 트럭은 울퉁불퉁한 길과 매끈하게 포장된 길을 번갈아 오래 달렸다. 고향을 떠나 낯선 곳으로 가는 길은 불안했다. 오전일찍 출발했는데도 새로 살게 될 서울 집에 도착했을 때는 해가 지고 노을이 물들어 있었다. 낯설고 해 진 거리는 불안하고 서글펐다.
(218쪽, <아버지 엄시헌>에서)

 
 
2. 아버지의 사진, 아버지와 함께 찍은 사진이 있으십니까

몇 해 전 아버지께 전화를 냈을 때 "아버지, 옛날에 사진을 많이 찍어 보내드리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하고 말했어야 했지만, 말하지 못했다. 전화를 끊으면서도 그는 아버지와 나란히 서서 사진을 찍을 기회는 앞으로도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그렇게 하루, 한달 두달, 한해 두해가 오고 갔다. 그리고 지금 엄종세에게는 영정으로 쓸 아버지의 사진조차 없었다.
(22쪽, <아들 엄종세>에서)

이 대목을 읽으면서 참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부모님 모시고 식사 대접하러 갈 때면 카메라를 꺼내서 사진을 찍는다고 찍기는 하지만^^;;; 아버지(그리고 어머니)와 함께 사진을 못 찍고 지낸 게 얼만가 하는 생각도 스쳤고, 엄종세처럼 영정 사진으로 쓸 사진조차 없는 상황이 올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실천을 좀 해야할 것 같습니다.
 
 

 
3. 아버지의 고통, 아버지의 책임

"그러다가 한 두어달 흘렀나. 점심을 먹고 쉬는 중이었는데‥‥. 다들 바닥에 드러누워 쉬거나 담배를 피우며 쉬고 있었어요. ... 그때 누가 물었습니다. ...
'이봐라, 너그 세상에서 제일 참기 힘든 고통이 뭔지 아나?'
참기 힘든 고통? 공사판 노가다들한테는 안 어울리는 말이기는 합니다. 아무튼 사람들이 하나씩 대답을 했어요. 누구는 잠 못 자는 게 제일 고통스럽다 했고, 누구는 또 뭐 팔다리 잘리는 거라고 했지. ... 엄 형님 차례가 됐는데, 대답을 않더라고요. ... 잠시 머뭇거리더니,
'식구들이 굶는 거요'라고 합디다."
(35-36쪽, <장기풍을 만나다>에서)

제가 식구들을 굶기고 있지는 않지만(!)^^;;; 크게 공감했습니다. 아버지 된 자로서, 가장 된 자로서, 가장 고통스러운 일이 있다면 가족들이 굶는 것일 거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책 속의 아버지 엄시헌은 험한 일, 막일을 하지만, 그의 생각은 늘 가족을 향하고 있습니다. 아버지로서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 말이죠. 다른 한편으로 이 대목에서 저는 가끔 뉴스에 나오는 무책임한 아버지들의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경제빙하기로 인해 타의적으로 일을 하지 못하는 아버지들이 아니라 가족 따위는 안중에 없는 아버지란 이름이 아까운 사람들이요. 그에 비해 작품 속의 아버지 엄시헌은 백만배 멋진 아버지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4. 아버지를, 아버지의 삶을, 얼마나 알고 이해하고 있습니까

아버지의 방식을 자네 마음대로 생각하지 말게. 아버지의 자식 사랑이란 게 뭔가. 제대로 된 아버지 역할이란 게 뭔가. 그런 게 어디 딱 정해져 있는 건가? 진짜 아름다운 것들은 우중충한 색깔을 띠는 법이야. ... (장기풍이 엄종세에게)

아버지 된 자의 손은 궂은 일과 마른 일을 가리지 않는다. 자식의 머리를 쓰다듬는 아비의 손과 궂은 일을 하는 손은 별개가 아니다. (아버지 엄시헌이 아들 엄종세에게)

자네 아버지가 돈이라면 개차반 같은 일을 서슴지 않았던 게 무엇 때문인지 아나? 돈을 벌 수 있다면 어떤 일도 가리지 않았던 이유가 무엇 때문인지 아나? (장기풍이 엄종세에게)

(166쪽, 166쪽, 168쪽, <김경한의 선택>에서)

굳이 위에서 예를 든 대목들이 아니라도 책의 곳곳에서 저자 조두진은 독자들에게 묻고 있습니다. 등장인물의 입을 빌어 당신은 아버지를 얼마나 알고 있고 아버지의 삶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느냐고 말이죠. "개차반 같은 일을 서슴지 않"는 것도, "돈을 벌 수 있다면 어떤 일도 가리지 않"는 것도, 모두 가족들을 위한 것임을 머리로만 아는 것이 아니라 가슴으로 제대로 이해하고 있느냐고 묻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저자 조두진의 생각이나 작중 인물들의 말에 공감을 하든 안 하든, 아버지를 그리고 아버지의 삶을 적극적으로 알고 이해하려는 엄두와 용기가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5. 생계의 중요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반감을 불러일으키고...

나는 말이야, 세상 걱정을 혼자 다 하는 작자들을 좋게 생각하지 않아. 제 밥벌이도 못하는 주제에 골방에 처박혀서 정치가 어떠네, 나라가 어떠네 하는 작자들 말이야. 처자식도 못 먹여 살리는 주제에 온갖 세상 고민 다 하고 온갖 푸념을 다 늘어놓는다는 게 말이나 돼? ... 그런 놈들은 말이야, 처자식이 굶든 떨든 세상 걱정이나 하면서 일년 삼백육십오일 개지랄을 떨어. ... 세상 고민 따위를 하기 전에 처자식 먹이고 입힐 고민을 먼저 해야 해. 나라 걱정? 개뼉다구 같은 소리 하지 말라고 해! (장기풍이 엄종세에게)
(162-163쪽, <김경한의 선택>에서)

먹고사는 문제, 생계는 중요합니다. 제정신 가진 사람이라면, 그것의 중요성을 부인할 사람은 없겠죠. 조두진은 등장인물의 형상화를 해야하는 소설가이기에 다소 극단적인 언사를 동원하는 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위의 인용문에서처럼, 장기풍의 입을 빌어, 아버지 엄시헌이 생각하는 생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반복하는 것이리라 봅니다.

하지만 생계에 대한 지나친 강조가 생계 외적인 사회-정치적 관심과 염려까지 부정하는 것처럼 들려 살짝 반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위에 인용한 것과 같은 대목들에서, 이 책은 마치 그런 관심과 염려를 부정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 정도였습니다. 그리고 "세상 고민, 나라 걱정"을 하는 이들이 모두 처자식 못 먹여 살리면서 그러고 있다는 듯한 뉘앙스도 좀 느껴지는군요.

더군다나 생계에 대한 극단적인 강조는, 역사적으로 가족의 생계를 돌보지 못하고 더 큰 대의를 위해 몸을 바친 분들을 폄하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습니다. 먹고사는 문제, 생계도 중요하지만 사회-정치적 관심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사회-정치적 불의에 대한 분노가 없다면 누가 가장 좋아할까요. 저는 거기에 생각이 미치더군요
.

 
 
 

  <리뷰의 결론> (긴 글 읽기 힘들어하는 분들을 위한! ^^)
- 아버지란 존재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는 장편소설.
- 서정적인 묘사도 뛰어나고, 스토리 구성도 나름 탄탄한 읽을 만한 소설.
- 아버지를 알고 아버지의 삶(의 방식)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는 조두진.
- 생계에 대한 지나친 강조만 제외한다면, 아버지를 화두로 던지는 좋은 책.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 0806 목 20:30 ... 22:00  비프리박
2009 0807 금 08:30 예약발행
 
 
아버지의 오토바이 - 8점
  조두진 지음 / 위즈덤하우스(예담)

  * 출판사가 제공하는 도서 정보를 원하시면 좌측의 이미지나 제목을 클릭하세요.

p.s.
"본 도서 리뷰는 위즈덤하우스(http://www.wisdomhouse.co.kr) 서평단 리뷰 포스트입니다."
 하지만 리뷰의 내용이나 방향은 위즈덤하우스와 무관합니다.
 한 명의 독자가 어떤 책을 읽은 후 작성하는 독립적인(!) 서평, 리뷰입니다. ^^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