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석 달의 독서를 돌아봅니다. 6월 말로 오면서 생각만큼 많이 못 읽었다는 느낌이 강했는데 평소보다는 많이 읽었음을 확인합니다. 그 불일치는 독서에 관한 제 바람이 커서였을까요. 느낌과 실제는 간혹 사뭇 달라서 서로를 배반하는 경우가 잦기 때문일까요. 4월과 6월은 바쁜 시즌입니다. 가르치는 학생들 내신 시험대비가 있는 때거든요. 힘든 때라서 가급적 속도를 낼 수 있는(?) 책을 제 자신에게 권했습니다. 여러 모로 힘든 때 진도 안 나가는 책을 읽으면 읽을 맛 더 안 나거든요. 이 전략이 나름 성공했던 듯 합니다. 물론 그게 늘 성공하는 것은 아니어서, 예상치 못한 시간을 잡아먹은 책도 두어 권 있었지만요. 그게 아니었으면 좀더 많이 읽을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저는 하루에 출퇴근 시간으로 약 2시간 정도를 소비합니다. 정확히는 130분쯤 될 겁니다. 그 중에 책 읽는 시간은, 지하철을 이용하는 70~80분 정도입니다. 편차가 존재하는 것은 지하철을 기다리는 시간(환승역 포함)이 매일 다르기 때문이지요. |
▩ 지하철 출퇴근 독서 3개월의 결실, 지하철에서 책읽기 결산(2011년 2분기) ▩
( ↑↑↑ 이미지 파일입니다. ↑↑↑ 클릭하시면 가로로 왕 길어집니다. ^^ )
4월에 10권, 5월에 9권, 6월에 11권, 해서 총 30권입니다. 작년의 연간 103권을 생각한다면 조금 많이 읽은 셈입니다. 책이 사람을 잠 오게 만들기도 하고 내용 속으로 빨아들이기도 하는데요. 아무래도 빨아들이는 책을 읽을 때가 좋습니다. 그런 책을 평소에 비해서 조금 더 만난 석달이었습니다. 사람을 잠이 오게 하는 책을 조금만 덜 만났으면 3개월 동안 읽은 책의 양은 늘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만, 책이란 게 펼쳐 읽기 전까지는 그게 어떤 책인지 알 수 없으니 어쩌겠어요. ^^; 석 달(93일) 동안 총 8618쪽을 읽은 걸로 확인되는군요. 매일 92.7쪽을 읽었단 계산인데요. 평소에 하루 70~80쪽을 읽은 평균 독서량과 비교할 때 조금 많은 수치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여기에 '곱하기 날짜수'의 마법이 가해진다는 거겠죠. 하루에 열 쪽을 더 읽는다고 하면 석달에 대략 900쪽을 더 읽게 되고 하루에 스무 쪽을 더 읽는다고 하면 석달에 대략 2000쪽 가까이 더 읽게 된다는. ㅎㄷㄷ 이번 석달이 바로 그랬던 것이죠.
- 조지 레이코프, 「코끼리는 생각하지마」. - 박민규, 「지구영웅전설」. - 유시민, 「국가란 무엇인가」. 조지 레이코프는 「코끼리는 생각하지마」에서 미국 지배세력의 논리를 관통하고 있는 그 무언가로 '일관성'을 짚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구사하는 '프레임'의 문제를 파고 듭니다. 이런 관점과 시도가 우리 사회에서도 심도 있게 이뤄졌음 합니다. 그의 이 책이 계기가 되어 그의 명저 「도덕의 정치」도 읽게 될 것 같습니다. 올해 안으로요. 박민규의 「지구영웅전설」은 발랄한 상상력으로 무장한 소설입니다. 공상과 현실을 적절히 버무려 놓은 소설입니다. 주인공이 둘 사이를 넘나드는데 그 접점이 어딘지 알 수 없어, 그래서 마치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은 느낌을 불러 일으키는 재미있는 작품입니다. 박민규의 매력이겠지요. 그의 책은 구입해 놓은 걸로 아직 안 읽은 책이 두 권 더 있군요. 「카스테라」와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유시민의 「국가란 무엇인가」는 조금 다른 의미에서 인상적인 책입니다. 제가 유시민의 관점과 생각에 상당히 많은 부분 동의하는 편인데요. 굵직한 정치적 견해에 있어서 저와 싱크로율이 90%가 넘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번 책에서는 꽤나 자주(!) 동의하기 힘든 부분이 등장했습니다. 싱크로율이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기회가 되면 그 부분을 찬찬히 짚어보고 싶습니다. 가능하다면 한번 더 읽고 나서요.
- 곽윤섭, 「나의 첫번째 사진책:즐거운 출사를 위한」. - 곽윤섭, 「나의 두번째 사진책:프레임 구성의 달인 되기」. - 김훈, 「강산무진」(소설집). 곽윤섭의 사진책은 첫번째 책이 계기가 되어 이번 석달 중에 그의 책을 두 권 더 읽었는데요. 첫번째와 두번째 책은 저에게 실로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제 '눈'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게 되었다고나 할까요. 일정 정도 제가 찍는 사진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구입해둔 그의 책이 한 권 더 있는데 이번 여름에 읽게 될 듯 합니다. 기회가 되면 첫번째와 두번째 사진책을 한번 더 읽고 싶습니다. 김훈의 책은 묵직한 느낌으로 다가왔습니다. 그의 소설이 어두워서 싫다고 하는 분들이 계시는데 그 말에 동의합니다. 이번에 읽은 책 「강산무진」은 그게 한층 더 어둡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맥락에서든 '삶의 끝'에 선 주인공들이 계속 등장하니까요. 그런데 저에게는 그것이 '삶의 무게' 혹은 '진지함'으로 비쳐서 좋습니다. 「강산무진」은 읽은 후 꽤나 긴 여운을 남겨서 며칠을 거기서 헤어나지 못했는데요. 시간이 조금 더 흐른 후에 꼭 한번 더 읽고 싶네요. 2011 0706 수 08:00 ... 08:50 비프리박 p.s. 이전에 작성한 출퇴근 독서 결산글을 보시려면 ☞ 여기 ☜ 를 클릭하세요. . |
반응형
'소통4: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0월은 장하준의 달. 나쁜 사마리아인들에서 사다리 걷어차기로 그리고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까지. (16) | 2011.10.02 |
---|---|
▩ 제게 9월은 하루키 독서의 달! 못 읽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소설집과 에세이집 읽기. ▩ (20) | 2011.09.06 |
▩ 무라카미 하루키 장편소설 1q84 book 1, 2, 3 드뎌 독파. 그리고 9월은 하루키의 달로. ▩ (29) | 2011.08.25 |
▩ 하루만에/하루밤에 읽은 책. 디셉션 포인트 2, 시골의사의 아름다운 동행 1, 태엽감는 새 4. ▩ (45) | 2011.06.29 |
▩ 책 싸게 구입하기, 나름의 도서 구입 방식. 헌 책도 좋지만 새 책을 저렴하게 살 수 있다면! ▩ (27) | 2011.06.16 |
▩ 무엇을 위해 독서를 하십니까? - 책을 선택하고 평가하는 기준. ▩ (66) | 2011.05.29 |
▩ 나는 가수다, 나로서는 별로다. 박정현 윤도현 김범수 BMK가 나옴에도 시청을 포기한 이유. ▩ (31) | 2011.05.27 |
{ TAG }
TAG 2011년 2분기 독서, 도서, 독서, 독서 결산, 리뷰, 지하철 독서, 지하철 독서 3개월 해보니, 지하철 출퇴근, 지하철 출퇴근 독서, 지하철 출퇴근 독서 3개월의 결산, 지하철에서 책읽기, 지하철에서 책읽기 3개월의 결산, 책, 책을 읽자, 책읽기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