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필요해서 쓰고 있다면 말도 안 해, 쓸 데 없이 사용되고 있다면 막아야겠죠. 그게 돈이든 하드 디스크 공간이든 마찬가지입니다. 사실 따지고 보면 하드 디스크 공간도 돈이지요. 단적인 예로 하드 디스크를 몇 GB 또는 TB에 얼마 하는 식으로 파는 것만 봐도 그렇습니다. 그리고, 돈도 돈이지만 공간 효율성 면이나 시스템 구동 면에서도. ^^; 괜히 공간만 차지하는 덩치 큰 녀석들이 하드 디스크에서 어슬렁대고 있다면(-.-); 없애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내가 다운받은 동영상 파일이 불필요하면 삭제하듯, 필요하지도 않은 녀석들이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면 세팅을 바꿔줄 필요가 있는 것이죠. {System Volume Information} 폴더의 사이즈가 몇 GB 넘기 일쑤죠. 기가 막혀! 그리고 hiberfil이란 녀석도 1GB 넘기 보통입니다. 또 한번, 기가 막혀! 내가 필요해서 한 세팅이 아닌데도 요 녀석들이 만들어져서 덩치를 키워간다면 덩치를 작게 하거나 없애는 게 옳습니다. 제가 컴퓨터 초기화한 후에 두 가지 세팅은 반드시 건드립니다. 숨어 있던(?) 하드 디스크 공간 확보 방법 두가지를 공유해 봅니다. 이미 알고 계신 분들도 적지 않으리라 봅니다만, 이런 글은 모르고 계신 분을 위해 쓰는 것이죠. ^^ |
▩ 하드 디스크가 쓸 데 없이 몇 GB씩 낭비되고 있다면 되찾아 보아요. ^^ ▩
윈도우 xp 프로페셔널 환경입니다. 윈도우 xp 홈 에디션의 경우에는 #1은 설정이 안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윈도우 7의 경우 기본 개념은 같지만 세팅 방법이 조금 다릅니다. 추후 포스팅 예정입니다. ^^ { #1 } 윈도우에 의한 시스템 복원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탐색기 - 메뉴 - 도구 - 폴더 옵션}에서 {보기} 탭으로 들어가면 {보호된 운영 파일}과 {숨김 파일 및 폴더} 그리고 {시스템 폴더 내용}을 보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설정하면 C:\ 아래에 {System Volume Information}라는 폴더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아래처럼 말이죠.
이제, {System Volume Information} 폴더 내에 쌓여 있는 복원 지점 정보를 삭제해 주면 되는데요. 폴더 내에 RP○○ 으로 나타나는 폴더들을 삭제하면 됩니다. 혹시 {System Volume Information}를 더블 클릭했을 때 폴더 액세스(접근)가 안 된다고 뜨면 접근 되도록 설정해주고 들어가면 됩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폴더 액세스 거부 해제하는 방법은 http://blog.naver.com/infopub/100070859107 글을 참고하세요. { #2 } 최대절전모드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컴퓨터의 전원 설정 방식으로 {최대절전모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체크해둔 경우, C:\ 폴더에 보면 아래와 같은 덩치 큰 hiberfil이란 녀석이 나타나게 됩니다. 일단, 숨겨져서 안 보일 수도 있으니까, 보이게 설정을 해야겠죠. 위에서 했던 것처럼, {탐색기 - 메뉴 - 도구 - 폴더 옵션}에서 {보기} 탭으로 들어가서 {보호된 운영 파일}과 {숨김 파일 및 폴더} 그리고 {시스템 폴더 내용}을 보이게 설정하면 됩니다. 사용자가 컴퓨터 전원 설정으로 {최대절전모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면 이 파일은 필요없습니다. {최대절전모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함으로써 위에 보이는 만큼의 디스크 공간 허비를 막을 수 있습니다. 제 데스크탑 컴퓨터의 경우 1GB로 나오는 것일 뿐, 사용자의 컴 환경에 따라 더 클 수도 있고 더 작을 수도 있습니다. 윈도우 7을 구동하는 제 노트북의 hiberfil 파일 크기는 5GB를 넘는군요. -.-; {최대절전모드}를 해제하는 방법 역시 간단합니다. {바탕화면}에서 우클릭 - {등록정보(or 속성)}을 클릭 - {디스플레이 등록 정보} 창을 엽니다. {화면 보호기} 탭을 클릭한 후 하단의 {전원(O)}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전원 옵션 등록 정보} 창이 뜹니다. 여기서 {최대 절전 모드} 탭을 클릭한 후 {최대 절전 모드 사용(H)}의 체크 박스를 해제해주면 됩니다. C:\ 폴더를 확인하면 hiberfil 파일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의 ※ 윈도우에 의한 시스템 복원을 사용하는 분이나 최대절전모드를 애용하는 분이시라면 이렇게 세팅하시면 안 되겠죠. (^^); 저희집 2nd 데스크탑의 경우(윈도우 xp), 이렇게 해서 보통 3GB 이상의 디스크 공간을 확보합니다. 40GB 할당한 C 드라이브에서 3GB이면 10%에 육박하는 공간이지요. 그리고 윈도우 7을 돌리는 노트북의 경우, 두 가지 세팅을 함으로써 8GB쯤 되는 여유 공간을 확보했습니다. 80GB를 할당한 C 드라이브에서 역시 10% 수준입니다. 윈도우를 이용한 시스템 복원을 이용한 적이 없거나 최대절전모드 따위 사용하지 않는 분이라면 이 세팅으로 애꿎은 10%의 하드디스크 공간을 되찾으시기 바랍니다. ^^ 2011 0415 금 00:00 ... 00:40 & 09:40 ... 10:20 비프리박 |
반응형
'공유4: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스케치. 또 한번의(!) 컴퓨터 초기화, 백업, 포맷, OS 인스톨, 프로그램 설치, 노턴 고스트 백업 ▩ (26) | 2011.05.11 |
---|---|
▩ 디스크 조각 모음을, 그래서 하지 않을 수 없다. 디스크 조각 모음하는 진짜 이유? & 방법. ▩ (20) | 2011.04.29 |
▩ 윈도우 7에 필요한 적정 c 드라이브 크기는? 윈도우 xp의 경우는? 하드 디스크 c에 관한 생각. ▩ (31) | 2011.04.22 |
▩ 시스템 복원 사용 안 함? 최대절전모드 사용 안 함? 그렇담, 하드 디스크 여유 공간 확보를! ▩ (18) | 2011.04.15 |
▩ 디스크 정리 하는 방법, 디스크 조각 모음보다 낫다! 클릭 몇 번으로 디스크 여유 공간 확보. ▩ (24) | 2011.04.13 |
▩ 윈도우 xp 윈도우 7 설치 고민? 엘지 엑스노트 노트북 LG xnote OS 다운그레이드 안한 이유. ▩ (26) | 2011.04.11 |
▩ xnote c400-me35k 개봉기. 가격비교에 벼르던 엑스노트 노트북 구입. 삼성 노트북, 안 샀다! ▩ (32) | 2011.03.29 |
▩ 인터넷 익스플로러 오류의 어떤 해결법 - IE 8 오류, 인터넷이 튕겨? 눈물겨운 대처법 찾기. ▩ (26) | 2011.01.10 |
{ TAG }
TAG hiberfil,
hiberfil 파일,
It,
System Volume Information,
System Volume Information 폴더,
System Volume Information 폴더 액세스 거부 해제,
windows 7,
windows xp professional,
디스크 여유 공간,
리뷰,
보호된 운영 파일,
숨김 파일 및 폴더,
시스템 복원,
시스템 복원 사용 안 함,
시스템 폴더 내용,
윈도우 7,
윈도우 XP,
윈도우 xp 프로페셔널,
윈도우에 의한 시스템 복원 사용 안 함,
전원 옵션 등록 정보,
최대절전모드,
하드 디스크,
하드 디스크 여유 공간 늘리기,
하드 디스크 여유 공간 확보,
하드디스크,
하드디스크 여유 공간
댓글을 달아 주세요
비밀댓글입니다
이상하게 하드 디스크에 허비되고 있는 공간 보면 아깝다는 생각부터 들어요. ^^
어렵사리 이런 저런 세팅법을 알아내서라도 그걸 바로 잡으면 괜히 기분 좋아진다죠. 큭큭.
좋은 정보군요. 좋은 주말 보내십시오.
주말은 잘 보내셨나요? 힘찬 한주 맞으세요.
필요한 시스템 복원 지점만 남기는 방법으로 용량관리를 할 수 있어요.
전부다 지워버리는 것보다는 안전한 방법이죠.
트랙백으로 보냅니다.
시스템 복원을 쓰지 않는다면
굳이 지점을 남길 필요가 있을까 싶어서
걍 삭제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습니다.
도움 말씀 감사하고요. 참고하겠습니다.
가끔 전에는 컴퓨터를 점검하기도 했는데...
새롭게 구입한 컴퓨터 사용1년동안은 별로 보지 않았네요...
전의 컴퓨터가 너무도 느려서 아마 만족하며 그냥 두었나본데...
가끔은 저도 정리라는 것을 해봐야겠다는...ㅎㅎ
제가 바로, 집의 데스크탑을 몇년째 그냥 쓰기만 하고 점검은 안 했던. ㅠ.ㅠ
걍 잘 돌아가면 굳이 점검을 할 의욕을 못 느끼는 게 보통이죠.
점검이 필요하다는 증세(?)가 나타나야 손을 보게 되는. 핫.
그래도, 중간중간에 좀 손을 봐서, 낭비되는 공간 없게 해야되는데 말입니다. ^^;
요즘은 거의 신경안쓰네요.~ 하드가 그리 큰건 아니지만..그냥 신경쓰기가 귀잖아 지더라고요.~^^ 하드 용량만 충분하다면...필요없겠죠?ㅋ 특히 포맷 자주하시는분들은 정말 귀잖은 일중 하나지요.~^^
포맷을 자주 하는 경우라면 굳이 시스템 복원으로 공간 낭비를 할 필요가 없지 않나 싶었어요.
저는, 복원 보다는 포맷을 택하는 1인이고,
포맷 보다는 고스트 이미지를 선호하는 1인입니다. ^^
하드 디스크 공간이 아주 넉넉하다면, 그리고 가끔 포맷을 해주는 경우라면,
굳이 신경을 안 쓰고 지내도 되는 그런 부분이지요. ^^
저는 죄다 용량이 크다보니 신경을 안썼던 부분이네요..^^;
그냥 500gb 이상을 쓰다보니..ㅋㅋ
C드라이브 포맷을 즐겨(?) 하거나 고스트 이미지 덮어쓰기를 가끔 하는 편이라면
C드라이브에 많이 할당을 하면 아깝죠.
그저 C는 최소(혹은 최적)의 용량으로 자주자주 초기화 시켜주는 쪽이네요.
불로화님은 500기가 이상을 C 드라이브로 쓰시는? ^^;
좋은 정보입니다 :-) XP를 사용할 때 항상 저것부터 손보고 시작했죠.
공감하시네요. 저 역시 일단 포맷 후에는 이것부터 손을 봅니다. ^^
전 집의 컴터에선 시스템 복원을 한번 사용한 적 있고 (결국 시스템의 문제점을 다른 곳에서 찾았지만) 최대절전모드는 작업하던 상태를 고스란히 보관하기 위해 회사 노트북에선 필수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최대절전모드를 한두번씩 또는 가끔 사용하는 건 괜찮은지 모르지만, 늘 사용하다 보면 파일 시스템이 꼬여버리는 것 같습니다. (느낌상)
노트북을 모바일로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최대절전모드는 필수이겠지만, 비프리박님은 집에서 주로 사용하시니 굳이 사용하실 필요가 없어 보이네요.
자주 느끼는 바이지만 비프리박님은 말씀도 잘하시고 글도 많이 쓰시고 책도 많이 보시고, 여행도 많이 다니시고, 마음도 넓으시고...컴퓨터도 잘아시고... 거기다 키까지 크시다는. ㅋ
회사에서 최대절전모드를 쓰시는군요?
저는 걍 절전모드(대기모드)를 씁니다.
꺼지고 켜지는 거 빠르고, hiberfile 을 만들지 않아서 선호합니다.
맞습니다. 최대절전모드 자주 사용하면 아무래도 '꼬임' 현상이 일어나기 쉽죠.
말씀처럼, 노트북을 사무실에서만 or 집에서만 쓰니까(모바일로 안 쓰니까)
최대절전모드를 안 쓰는 경향이. ^^
덧) 으으. 마지막에 적으신 두줄은 그저 감지덕지한 칭찬이시네요.
듣기만 해도 기분이 좋아지는. 감사합니다.
근데 적으신만큼만 멋진 사람이 되면 참 좋겠는데 말입니다. ^^;
아^^ 그렇군욤..
아이가 쥐락펴락 다해서 저는 그냥 사용만 하는 처지라서요..
아이에게 알려 주어야겠어욤..
좋은 정보에 감사드려용..ㅎ
아들래미가 효자군요. ^^
어쩌면 아들래미도 이미 알고 있는 정보일지도 모르겠네요.
이왕이면 낭비하지 말고(?) 살아야죠. 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