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항 리무진버스를 탈 일이 있었네요. 제주도 여행 갔다가 돌아올 때였는데요. 시계를 보니 조금만 기다리면 되겠다 싶었고, 조금 많은 짐을 들고 멘 채 지하철 타러가고 환승통로 걷고 하는 게 너무 먼 거리다 싶어서 리무진버스를 탔습니다. 서울 북부에 사는 저희는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 바로 앞에서 경기북부(의정부)를 잇는 7300번을 이용했습니다. ( http://www.airport.co.kr/doc/gimpo/life/R02010202_new.jsp?id=527 ) 현실은 우리의 기대를 여지없이 파괴했습니다. 이거, 영 아니다, 싶습니다. 아마도 공항 오가는 데에 리무진버스를 탈 일은 없을 거 같습니다. 깨어질 기대라면, 계속 뭔가 기대를 거는 것보다 한시 바삐 기대가 깨지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더이상 기대를 걸진 않을테니까요. 버스+지하철로만 공항을 오갔던 입장에서 이용해본 공항 리무진버스에 대한 체험기(?)입니다. 모든 리무진버스가 이렇다는 뜻은 아닙니다. 그래선 안 되겠지요. 저 역시 그렇지 않길 바랍니다. 리무진버스가 이럴 수도 있다는 정도로 포스트를 읽어주시면 좋겠습니다. 공항 리무진버스 외에는 달리 교통 수단이 없는 분들은 어쩔 수 없이 공항버스를 이용하셔야겠지요. 소위 리무진이라 불리는 공항행 버스가 만족스러운 분이 계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라면, 김포공항-경기북부(의정부) 간 공항버스는 피하고 싶은 게 사실입니다. |
▩ 김포공항-의정부 7300번 경기북부 공항 리무진버스 체험기(?). ▩
하나. {장점} 좌석이 세줄이긴 하다. 국내선 청사 입구에서 타고 내리긴 한다. 공항 리무진버스는 운전석 뒤쪽으로 2열, 출입구 쪽으로 1열, 해서 3열 좌석배치이다. 비좁지 않아서 좋긴 하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경쟁력이 될 수 있을까? 그래, 국내선 탑승 수속하는 청사 입구에 내려주는 것도 장점이라면 장점이다. 지하철 타러 가는 길이 멀고, 환승 통로 이동에 꽤나 걸어야 한다면 게다가 짐까지 많다면 유혹이 되지 않을 수 없다. 유혹은. -.-a 두울. 깨끗 or 산뜻하다는 느낌과는 거리가 먼 실내. & 허리 아픈 전후좌우 쏠림. 리무진버스라고 엄청 깨끗하길 바랄 만큼 순진하지 않다. 딱 탔을 때 실내에서 나는 뭔가 찝찝한 냄새도 싫었지만 팔 걸이에 팔을 얹기 꺼려질만큼 찜찜했다. 이건 여름이어서 땀이 나서 그렇다기 보다는 청결의 문제라고 생각된다. 게다가 뒤로 젖혀지지 않는 등받이, 내려가지 않는 발걸이, ... 내가 탄 차만 그랬던 건가? 그리고 운전기사분이 하루 종일 에어컨 바람에 노출되기 싫은 걸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승객들의 무더위도 좀 생각해주어야 하지 않나? 몸에서 땀이 슬슬 배어나오기 시작했다. 이것도 내가 탄 버스에서만 그랬다고 믿고 싶다. 아. 하나 더! 차체의 좌우/전후 쏠림이 너무 심해서 그날 오후 허리가 좀 뻐근할 정도였다. 세엣. 한 시간에 최대 2대 있는 버스. 가끔 중간에 한대가 증발? 김포공항-의정부 공항 리무진버스는 대개 3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고 나와있다). 다른 노선의 공항 리무진버스에 비하면 배차가 많이 되는 거란 거 잘 알고 있다. 그런데 중간에 버스가 한대 증발하는 일이 벌어지네? 10:25에 승강장 도착해서 10:45 출발 버스를 타려했는데 오질 않는다. 55분쯤인가 버스회사 사무실로 전화했다. 가관인 것은 버스 회사도 해당 버스가 오는지 안 오는지 안 오면 왜 안 오는지 알지 못한다는 점이었다. 기가 찬다. 네엣. 완행 시외버스, 마을버스를 연상케 하는 노선. ( 얼마나 돌았나 궁금해서 돌려본 네이버 지도. 왼쪽 77번 도로 쪽으로 뻗은 게 대박! ) ( 40km 채 안 되는 거리를 60km로 만들어놨다. 이동시간 총 80~90분. 편도 6000원. ) 솔직히 공항 '리무진' 버스라는 이름 때문이 아니래도 버스가 그렇게 시내 구석구석 훑으며 갈 줄은 몰랐다. 서울외곽순환 100번 도로를 이용하길 바라지도 않는다. 100번 도로 입구를 지나친 후, '리무진' 버스가 가는 노선에서 이건 뭐 완행 시외버스나 마을버스를 연상했을 정도다. 일산쪽으로 크게 돌아가는 것도 어이가 없지만 고양시내 정체구간을 통과하는 것도 기가 찬다. 승용차를 이용하면 40km가 채 안 나오는 거리를 공항 리무진버스는 멋진(!) 노선을 뽑아 60km쯤 나오게 만들어 놨다. 멋지다. 다섯. 비행기 시간을 과연 맞출 수 있을까. 공항에 시간 빡빡하게 갈 사람은 없겠지만, 솔직히 나는 비행기 시간에 늦을까봐 공항 리무진버스를 타지 못한다. 의정부-김포공항 노선의 리무진버스는 교통 체증에 그대로 노출된다. (부분적으로는 버스 전용차로가 있는지 모르겠으나) 버스 전용차로가 있는 것도 아니고 송추-장흥으로 이어지는 굽이굽이 그 길과 고양 시내의 그 많은 신호등을 통과해 가며 제 시간에 비행기를 탈 수 있을까? 그러려면 몇시간 전에 집에서 나서야 할까. 지하철+버스를 이용하고 말지. 귀가할 때 버스를 탔기 망정이지 공항 가는 버스를 탔다면 스릴감 장난 아녔을 듯. 결론. 다시는 공항 리무진버스 안 탈래. 가는 거든, 오는 거든. ( 잠깐 버스 + 쭈욱 지하철. 총 거리 50km 남짓. 총 2시간 소요. 1600원. 이게 답이다. )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50km 남짓에 2시간쯤 걸린다. 비용은 교통카드 이용시 (내 경우) 1600원이다. (참고로, 공항 리무진버스는 김포공항↔의정부가 편도 6000원이다.) 전철을 이용하면 (종로3가 역의) 장난 아니게 긴 환승 통로가 문제인데 바퀴 달린 여행용 가방을 이용한다면 크게 고민할 문제는 아니다. 게다가 그 시간 포함하여 2시간인 것이고 걷는 것이 피해야 할 일은 아니다. 그리고 지하철에선 책을 읽을 수도 있잖은가. 공항 갈 땐 지하철에서 김훈의 남한산성을 읽었고, 공항에서 집으로 올 땐 리무진버스에서 한 글자도 책을 읽을 수 없었다. 이런 공항 버스가 '리무진' 버스라면 우리집 승용차는 국빈 의전용 차량이겠다. 그런 공항 버스가 '리무진' 버스라면 지하철은 독서실이거나 침실이겠다. 2010 0809 월 17:50 ... 17:55 시작이반 2010 0810 화 19:40 ... 20:20 거의작성 2010 0811 수 11:20 ... 11:40 비프리박 p.s. 웹페이지 사라짐 현상을 대비한 캡쳐. 이미지를 클릭하면 커집니다. |
반응형
'소통2: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청계천 홍수, 신월동 화곡동 침수, 물에 잠긴 지하철역. 추석에 맞이한 수도권 물난리. ▩ (16) | 2010.09.22 |
---|---|
▩ 총리 인준? 장관 임명? 청문회, 임명동의안? '그들'의 인사검증 시스템, '그들'의 상식. ▩ (20) | 2010.08.28 |
▩ 방구뀐 놈이 성내는 적반하장의 나라, 답이 없는 그들만의 천국? ▩ (36) | 2010.08.24 |
▩ 리무진은 뭐가 리무진? 김포공항-의정부 7300번 경기북부 공항 리무진버스 유감. ▩ (28) | 2010.08.11 |
▩ DTI 규제 완화? 부동산 규제 완화로 뭘 얻을까. 신용카드 한도를 높이지, 그래? ▩ (14) | 2010.07.25 |
▩ 수아레즈, 우루과이 대 가나 8강전에서 보여준 핸들링으로 욕까지 먹어야 할까. ▩ (34) | 2010.07.06 |
▩ MRI 비용, 전액 환자본인부담? 왜, MRI 촬영비용은 건강보험 적용이 안 되나. ▩ (55) | 2010.07.05 |
▩ 종합소득세 환급일은 언제? 환급 시기의 고민, 디지탈 피아노를? DSLR 카메라는? ▩ (26) | 2010.06.30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이름이 무색한 버스군요.
정말 이런 서비스는 이름값좀 해야하는데 말이죠.
영어 러브가 호텔과 붙어서 고생인 것만큼이나
리무진이 버스와 붙어서 고생인 것 같습니다.
이름값을 좀 하든가, 이름을 바꾸든가. 그쵸.
비밀댓글입니다
버스회사에 항의라도 좀 하고 싶은데요.
그래봐야 달라질 거 없을 것 같은 느낌이라 접었습니다.
그날 회사 사무실로 전화를 이미 했었는데,
그 반응이 참 어이 없어서 말이죠.
(본문 세번째 항에서 적은대로요.)
다른 대체 수단이 있는 이상, 이용하지 않으면 된다고 봅니다. -.-;;;
손님의 가장 강력한 권리는 불매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
야... 이건... 뭐... ㄱ-
군포에서 안양을 거쳐 인천공항으로 가는 공항버스가 더 낫겠다. ㄱ-
아마 그게 더 나을 거예요.
군포 사는 누이가 있는데, 공항버스는 안 이용한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7300번 보다는 그게 나을 듯.
부산에도 리무진이라고 이름 붙인 버스가 있었는데 요즘은 그냥 공항버스 하더군요 ㅎ
이름이 아까운 그런 버스입니다. 이름보다 낫거나 최소한 명실상부해야 하는데 말이죠.
우리 집에서 김해공항까지 리무진타고 왔다 갔다 하는 거나
차량 몰고 갔다가 주차비 내는 것을 비교하니 리무진이 더 비싸더군요.
그리고 30분마다 오는 리무진을 하염없이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도 있어서
일전에 일본 갔다 올 때도 국가시책을 어겨가며 자차를 이용했습니다.
대중교통 이용해야 하는 거 누가 모릅니까? 불편함을 조금 감내할 정도가 아니니 그게 문제죠..
우리는 시간과 돈을 따지게 됩니다. 그래야 맞구요.
비교해서 이게 낫다 싶으면 그걸 택하는 거지요.
제 경우라도 그게 내 차 타고 이동하는 거라면 그렇게 할 겁니다.
그쵸? 대중교통 이용해야 하는 거 누가 모르냐구요.
저는 그 원망이 고스란히 공항 리무진버스로 향하게 되네요.
(답이 지하철로 나와서 그렇지만. ^^;)
유리아빠님은 대안이 자차로 공항-집 왕복하시는 거잖아요.
굳이 국가시책 같은 거 신경 쓰지 마세요. 그래야 할 필요가 없단 생각. 공감. ^^
그나저나 저 공항 리무진버스는 저 꼬락서니를 해서 편도 6천원을 받다니,
참 답이 없는 버스입니다.
그렇다면 제 자가용은 대통령 차 정도 되겠네요.ㅎㅎ
이 참에 대통령 승용차를 제 차로 바꾸어 드리는 것은 어떨까 생각해 봅니다.
남은 임기동안 모든 이동시 제 차를 이용한다면 무료로 드릴텐데 말이죠.ㅎㅎ
그렇습니당. 저 버스가 리무진버스라면
우리 자가용은 대통령 전용 차량 혹은 국빈 의전용 차량입니다.
리무진이란 이름이 참 아깝습니다.
그리고 G는 이런저런 비용 감축하라면서 지 차는 왜 다운 그레이드 안 하냔 말입니다.
완전 공감합니다- 제 속이 다 시원한 듯.
저도 저 리무진이 마을버스인가 싶습니다^^
김포공항-의정부/김포공항-동두천 간 버스(직행으루!) 더 증진되야하지 않나 싶네요!!!
아마도 이용해보신 분들 가운데 공감하는 분들 많지 않을까 해요.
이용하기 전에 검색하시는 분들께 정보를 공유하고 싶어 포스팅했는데,
모쪼록 많은 분들이 현명한^^ 판단을 하셨음 합니다.
버스가 좌우쏠림이 심해서 저는 허리가 아팠어요. -.-;
완전 공감하고갑니다..
자주는아니더라도 많이 타던 버스인데 궂이 저 일산시내를 마을버스마냥..
정말이지 일산시내를 저렇게 도는 건, 마을버스를 연상시킵니다.
그러면서 공항리무진 버스는 무슨 리무진인지.
의정부에서 김포공항가는 버스
일산시내 안 들리고
송추에 새로 뚤린 고속도로로 다닌지 꽤됐는데 -.-
내가 탄건 무슨 버스지......
한시간 남짓 걸리는데 말입니다.
타신 버스가 7300번 버스가 아닌 모양입니다.
방금 노선검색하고 왔는데 7300번은 여전히 저렇게 킨텍스 쪽으로 빠졌다가 뱅글뱅글 돕니다. -.-;;;
타신 버스가 몇번 버스인지 적어주시면 좋겠다는.
아마 인천공항으로 가는 버스와 혼동하지 않았나 싶네요. 의정부에서 인천공항으로 가는 리무진버스는 일산 안들리고 고속도로 타고 인천공항으로 갑니다.
일산시내 안 들르고 외곽순환도로 타는 건 인천공항 가는 버스죠.
커뷰님 말씀처럼 잉?님이 착각한 거 같습니다.
욕나올뻔 ...이건 그냥 버스도 아닙니다. 망부석이 되었습니다.
말이 공항버스지 배차가 30분..
.....뭐 이건 지네 맘대로 다니니 ...
배차 간격이 망부석 될 만한 배차 간격이지요.
그리고 버스 노선을 보면 이건 뭐 마을버스라고 해야. -.-;
김포공항행은 확실히 그래요.
인천공항행은 안그런데 김포공항행은 이게 공항행 리무진버스인지 그냥 일반버스인지 구별안될정도로 서는 곳도 많고 돌고 그러죠. 정말 학을 떼게 만들어요.
몇년전에 올려주신 글인데도 새삼 김포공항갈때 저도 느꼈던 스트레스가 확~ 밀려오네요.
김포공항에서 의정부를 잇는 그 버스는 확실히 '리무진'이란 이름이 아깝죠.
노선도 극악하고
실내와 좌석도 안 깨끗해요.
한번 경험한 후로는 걍 지하철 이용합니다.
공감합니다. 작년 일본으로 가족여행을 갔을때 일부러 출국은 인천으로 하고 귀국은 김포로했는데요 저는 김포니까 집까지 더 가까울줄알고 그랬는데 인천가는것보다 시간이 더걸렸습니다ㅜㅜ
일산에서는 온갖신호 다걸리고 밀리고ㅜ하필퇴근시간까지겹쳐서 사람도 많이타고...
버스가 너무건조하고 더운데 창문도없다보니 결국 감기가 된통걸렸습니다ㅜㅜ 당장 다음주에 제주도 가는데 불편하더라도 지하철타려구요
동감입니다.
차라리 인천공항가는버스가 김포공항을 들렸다가면 좋을듯하고 코스만보면 예전 시골 마을버스 노선보는듯~~
제주서 마지막비행기 타더라도 버스를이용하면 좋을건데 밤10시30분이면 막차가
끝나고 인천에서오는 직행버스를 기다려야~~~
ㅉ
해도 너무해~~
리무진은 개뿔 ~~
첫차 4시40분 김포공항 비행기 6시 30분
소요시간 1시간20분 어떤곳은 90분~~
새벽 시간아니니깐 1시간 20분이면 도착할줄알았는데 도착이 6시 20분~~ 그것도 국제선
위 댓글을 보긴했어도 이렇게 오래걸릴줄은 몰랐네 예약취소 위약금 / 비싼 대체항공기 아침에 시간에 쪼들리고 힘들고 몇만원 날리고 이게 뭐람~~~
촌동네사는게 잘못이라 위안을 삼아야 하나~~~
표는 끈으라면서 1분도 안기다려주고 떠나는 기사 욕나온다